본문 바로가기
내분비학(호르몬)

저혈당성 장애의 정의 및 분류 마스터하기

by 행복한 꿀벌이 2025. 3. 2.

저혈당은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혈청 혈당이 50mg/dl 이하인 경우로 정의됩니다. 공복에 의한 저혈당증의 원인과 음식물 흡수 후 상태에서 나타나는 반응성 저혈당의 원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공복 시 저혈당증은 혈중 포도당 농도의 저하와 관련된 어떤 질환 상태를 의미하지만, 음식물 흡수 후 저혈당증과 관련된 증상들은 어떤 인지할 만한 질환이 없는 경우에 종종 발견됩니다. 공복 시 저혈당증은 주간 특히 운동 후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탄수화물 섭취 후에만 증상이 소실되나 반응성 저혈당의 경우는 저절로 증상이 소실됩니다. 저혈당증의 증상은 크게 아드레날린성 증상과 신경 저혈당성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당의 진단은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환자에게서는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대로 과정을 밟아 원인 질환을 찾는 것입니다.

 

 

 

① 임상 양상은 공복시 저혈당 증상은 보통 식사 수 시간 후 나타나며 가장 흔하게는 저녁 식사 전에 나타납니다. 드문 예에서는 증상들이 공복시보다는 음식물 흡수 후 기간에 나타나기도 하며 운동, 알코올 섭취, 고단백-저탄수화물 식사, 설 포닐 요소제로 치료받고 있으나 금식을 하는 경우 악화할 수 있습니다. 

② 혈청 혈당과 인슐린의 측정에서 저혈당의 진단에 있어서 혈당 및 인슐린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그 원인 질환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정상인에게서는 IRI/G ratio(plasma immunoreactive insulin/glucose)가 0.4 미만입니다. 

③ Proinsulin의 측정 - 정상인 중에서도 Proinsulin이 분비되는데 그 양은 분비되는 전체 인슐린의 20%를 넘지 않으며 insulinoma 환자에서 proinsulin분비가 증가합니다. 

④ 6 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 공복시 저혈당증과 음식물 섭취 후 저혈당증을 감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⑤ Prolonged(72 hour) fast test - 공복 시 저혈당증을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며 또한 일상적인 활동 중 휘플 3 증후와 고인슐린 혈증이 짧게 반복되는 경우 인슐린종의 진단에 가장 신뢰할 만한 검사로서, 계속된 감시하에 환자의 공복 상태를 지속하는 방법입니다. 공복시 낮 동안에는 활동을 해야 하며 열량이 없는 음료수는 마실 수 있습니다. 환자의 공복에 대한 순응 정도에 따라 채혈 빈도를 결정하도록 하며 (ex : 매 6시간 가격) 저혈당 범위에 근접함에 따라 빈도를 증가 (ex : 매 1~2시간 간격) 시킵니다. 혈당치가 남자의 경우 40mg/dl 대까지 여자의 경우에는 30mg/dl 대까지 저하되어도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발현될 때까지 혹은 72시간 동안 공복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⑥ C-peptide suppression test - C-peptide 억제 검사는 주사된 인슐린에 의해 유발된 저혈당이 인슐린종 환자에게서는 C-peptide 농도를 정상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에 기초를 둔 것으로 정상인에게서 저혈당이 유발되면 C-peptide 농도가 기저 농도의 50% 이하로 억제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인슐린종을 시사합니다. 

⑦ Provocative test

- tolbutamide test : 톨부타마이드 자극 검사는 약 90%의 정확성을 가지지만 이 검사는 검사 당일 공복 혈당치가 50mg/dl 이상 넘지 않거나 수일간(72시간 이상) 금식 상태에 있는 환자나 영양 상태가 불량하거나 간질환을 가진 경우 혹은 뇌하수체 기능 장애나 부신 피질 기능 장애로 부신 피질 호르몬 투여를 받는 환자들에게서는 금기 사항입니다. 톨부타마이드 1그램을 2분 이상에 걸쳐 정맥에 주사한 후 15분 동안 5분 간격으로 혈청 인슐린을 측정하여 195uU/ml 이상을 보이면 인슐린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glucagon tolerance test : 글루카곤 자극 검사 시 최대 인슐린 반응이 130uU/ml 이상이면 양성으로 고려되며 50~80%의 정확도를 가집니다.

- leucine toleranc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