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학(호르몬)

도움이 되는 당뇨병 경구용 약제 정보

by 행복한 꿀벌이 2025. 3. 2.

1950년대 후반 sulfonylurea, 1960년대 biguanid, 1980년대 아카보스, 1990년대 torglitazone 등의 약제가 개발되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약은 sulfonylurea계입니다. 

1) Sulfonylurea

각 약제의 상품명, 작용 시간, 대사 및 배설 경로와 혈당 강하 이외의 약효 등을 고려하여 각 당뇨병 환자의 특성에 맞는 약제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이 약제는 체내에서 베타 세포의 sulfonylurea 특이한 수용체와 결합하여 인접해 있는 ATP-K channel을 억제하게 됩니다. 세포막은 탈분극되고 칼슘의 세포 내 유입량이 증가하여 인슐린 과립의 degranulation이 유도됩니다. 결국 제1기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는 데 임상적으로는 포도당 자극에 대한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potentiation 시킵니다. 그러나 인슐린의 합성은 촉진하지 않습니다. 이 약제를 당뇨병 환자에서 장기간 투여하면 말초 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는 췌장의 효과가 나타나며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에 따라 인슐린 분비가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도 옵니다. 이러한 췌장 외의 효과는 약제를 장기간 투여 함에 따라 당 독성이 개선되어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적응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Sulfonylurea의 약리적 작용 기전을 고려하여 볼 때 이 약제의 사용에는 식사 요법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이 약제는 거의 전적으로 인슐린 비 의존형 환자에서 쓰이는데 특히 약에 반응을 잘 보이는 환자는 발병 연령이 40세 이후인 경우, 병의 이환 기간이 5년 이하인 경우, 정상 혹은 그 이상의 체중을 유지하는 경우 및 과거에 인슐린을 사용한 경우 그 요구량이 일일 20단위 이하였던 경우입니다. 전체 인슐린 비의존형 환자 중 10~20%는 약제에 반응을 하지 않는데 이 경우 1차 실패라고 하며 약제에 반응하여 치료 받던 사람에게서도 1년에 약 5~10%에서는 더 이상 약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2차 실패라고 합니다. 약제의 절대적 금기는 약물 알레르기 또는 부작용이 있는 경우이며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 임산부, 췌장 성 당뇨병 환자에게서는 약제에 듣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으며, 당뇨병 환자에서 감염, 스트레스, 수술, 상해 등이 있어 인슐린 요법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경구용 약 대신에 인슐린을 사용해야 합니다. 경구용 약을 인슐린과 병합요법을 할 수도 있습니다. 

 

 

 

2) Biguanide

1960년대 개발된 이 약은 베타 세포와는 관련이 없고 주로 말초에서 인슐린의 작용을 상승시켜 당 대사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나 정확히 약리적 작용은 아직도 잘 모릅니다. 또한 장내에서 당 흡수 억제, 식욕 감퇴 및 이에 따른 체중 감소와 간의 중성지방 합성 감소 등의 효과도 있습니다. 드물게 올 수 있는 유산 혈증이 치명적이어서 미국 내에서는 판금이 되었으나 최근 Syndrome X와 인슐린 저항성이 부각되면서 다시 판매가 허용되었고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3) Acarbose

이 약제는 진균에서 추출한 물질로 소장 점막의 α-glucosidase에 대하여 분해 흡수되어야 할 oligopoly saccharide와 대항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의 분해와 흡수가 소장 전체에서 지속적해서 있게 되어 혈당 상승이 완만히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베타 세포의 부담이 줄어 당대사에 개선이 옵니다.

4) 기타 약물

다음은 그동안 개발이 되었지만, 독성이 강하거나 실제로 효과가 크지 않은 약제와 현재 개발 중인 약제들이며 작용 기전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인슐린 분비 촉진제

pirogliride

linopliride

GIP (gastric inhibitory peptide)

② 인슐린 효과를 내는 약제

MAO inhibitor

Dichloro acetate

지방산 산화 억제제

methy-2-tetradecylglycidate

인슐린 대항 호르몬 억제제

somatostatin analog (octreotide, SMS 201-995)

THG(1-N-trinitrophenylhistidine, 12-homo arginine glucagon)

③ 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제

식이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