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뇨병췌장2

당뇨병에서의 췌장 소도 세포의 기능이란? 2편 공복시 고혈당이 나타나는 시기에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반응의 선택적 장애는 부분적으로 베타 세포에서 포도당 수송체 활성의 감소로 추측되며 정맥 당부하 후 급성 혹은 초기 인슐린 반응의 소실은 모든 당뇨병 환자에서 관찰됩니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글루카곤의 분비 이상도 증명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저 상태의 글루카곤은 정상 범위에 속하지만 당뇨병의 고혈당 상태를 고려하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맥 당부하 시 정상적인 글루카곤 분비의 억제에도 장애가 있어서 정상인에게 동일한 고혈당은 유도하면 혈장 글루카곤이 공복시보다 더 감소하므로 당뇨병 환자에게서의 혈장 글루카곤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어 있습니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경구 당부하 후 관찰되는 인슐린.. 2025. 2. 27.
당뇨병에서의 췌장 소도 세포의 기능이란? 1편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병태생리학적으로 글루카곤의 분비와 글루카곤에 의한 간에서 당 신생과 케톤체 형성의 억제에 인슐린 분비가 불충분한 상태입니다. 즉, 인슐린의 결핍은 췌장 알파 세포에서 글루카곤 분비가 억제되지 못하여 고글루카곤혈증이 나타나며, 포도당 조절 기능에 장애가 초래됩니다. 정상인과 달리 혈중 포도당 조절 기능에 장애가 초래됩니다. 정상인과 달리 혈중 포도당 농도가 상승하여도 글루카곤 분비가 억제되지 못하며 오히려 글루카곤 분비가 증가하고 인슐린 유발 저혈당에서 글루카곤 분비의 장애가 일어납니다. 뇌 조직은 시간당 6g의 포도당을 인슐린의 작용과는 무관하게 사용하고 뇌 이외의 조직은 시간당 4g의 포도당을 사용하므로 정상 공복 상태에서 간은 시간당 약 10g의 포도당을 공급해야 합니다. 간에.. 2025.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