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의 혈당 조절은 전문센터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임신에 있어 주산기사망률을 2~6%까지 감소시켰으나, 심한 혈관합병증을 지닌 당뇨병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에서 사망률은 더욱 높게 나타났습니다. 선천성 기형의 위험은 수정 후 처음 며칠에서 몇주 사이에 가장 높습니다. 당뇨병 산모의 태아 성장이 지연되면 골격 기형의 위험 기간이 더욱 길어질 것입니다. 만약 이것이 옳다면 임신 후기에 혈당치의 정상화는 거대사증과 호흡부전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착상 전의 정상 혈당치는 선천성기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주장에 따르자면 당뇨병을 가진 여성은 자녀를 갖기 위해 원할 때부터 선천성 기형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임신기간 동안 식사는 이상 체중 30~35kcal/kg의 열량 섭취가 되도록 하며 탄수화물의 섭취는 하루 200g 이상이어야 합니다. 산모 합병증으로는 산모의 위험은 증식성 망막증과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지닌 환자에게서 대부분 일어납니다. 심한 당뇨병 합병증을 가진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는 임신 전에 이들 인자가 미치는 결과에 대하여 고려가 필요합니다. 임신 중인 당뇨병 환자는 여러 가지 급성 질환, 당뇨병 조절의 악화와 치료에 잘 따르지 않을 때 입원시켜야 합니다. 분만 중에는 포도당과 인슐린을 정맥 주입을 하면서 정상 범위의 혈당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전체 임산부의 2~3%를 차지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 중 처음 발견되었거나 임신의 시작과 동시에 생긴 내당능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임산부가 당뇨병이 있으면 주산기 사망률이 높으므로 임신 중에는 당뇨병의 진단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여야 합니다. 치료하지 않는 경우 영아 사망률은 7% 정도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첫 번째 산전 진찰 때와 임신성 당뇨병이 가장 호발하는 시기인 임신 24주 후에 당뇨병에 대한 선별 검사가 필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모든 환자는 식사 요법을 해야 하며, 혈당을 자주 측정하여 인슐린 치료의 필요로 할 정도로 악화하는가를 감시해야 합니다. 2주 이내에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에서 2회 이상 공복혈당이 105mg/dl 혹은 식후 2시간 혈당이 120mg/dl을 넘는 경우는 인슐린 치료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혈당 조절 목표는 공복 혈당 65~85mg/dl, 식후 1시간 140~150mg/dl, 식후 2시간 120~130mg/dl입니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의 약 반수에서 분만 후에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다음 임신 시기에 재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임신과 당뇨병에 관하여 정상 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정상 임신의 첫 3개월 동안의 인슐린 작용은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강화되어 혈당은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임신 후기에는 내 당력은 약간 감소하고 인슐린 농도가 증가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태반 유선 자극 호르몬과 관계가 있는데, 이 인슐린 대항 호르몬은 일중변동을 보이지 않고 혈당에 의해서 되먹어 조절을 받지 않으며, 태반 조직량에 비례해서 농도가 증가합니다. 임신 중 인슐린 저항성은 수용체 후 현상으로 보입니다. 임신 중 태아에게 전달되는 성장과 산화 요구에 필요한 영양분의 양은 모체 영양분과 태반 혈류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모체 순환에서의 인슐린 작용에 대한 저항성은 모체의 식후 혈당과 다른 영양분을 증가시켜 태아 성장이 최대에 이르는 임신 후반기 동안에 많은 양의 포도당과 아미노산을 모체로부터 태아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태아의 요구에 대한 모체의 조절에서는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동물 실험에 의하면 임신 중 금식은 지방 분해, 케톤 생산, 당 신생률을 비임신 때보다 더 증가시킴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이 있어서도 비슷한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 추청됩니다. 따라서 금식은 임산부에게 대사 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케톤체가 기형 유발 물질이면 위험스러울 수가 있습니다. 베타세포의 기능이 경계선상에 있는 산모에게는 앞에서 말한 대사 적 변화는 임신성 당뇨병을 유발합니다. 이미 당뇨병을 지닌 임산부에서 상기와 같은 변화는 인슐린 요구량을 증가시킵니다.
“이 내용은 『내분비대사학 강의』(대표저자 허갑범, 출판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을 참고하였습니다."
'내분비학(호르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의 합병증, 대사 조절의 역할과 당뇨병 환자의 수술에 대하여 (0) | 2025.02.25 |
---|---|
당뇨병 환자의 운동 요법 (0) | 2025.02.24 |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적인 식사 요법 (0) | 2025.02.24 |
당뇨병의 진단과 판단 기준 (0) | 2025.02.24 |
당뇨병의 정의와 당뇨병의 분류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