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학(호르몬)

당뇨병의 정의와 당뇨병의 분류

by 행복한 꿀벌이 2025. 2. 23.

당뇨병이란 인슐린 분비의 절대적 혹은 상대적인 부족이나 인슐린의 표적 세포에서의 인슐린에 대한 생물학적 효과의 감소 즉 인슐린 저항성 때문에 혈중에 포도당이 증가하여 발생는 만성질환입니다. 당뇨병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세로서는 다음, 다뇨, 다식, 체중감소, 전신쇠약감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뇨병은 명확한 증상 없이 우연 건강진단 시에 발견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급격한 증상을 호소하면서 체중감소가 심하지만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게서는 체중감소가 심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증상 또한 미미하거나 거의 느끼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당뇨병의 분류는 지역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1985년 세계보건기구 내 당뇨병 위원회에서 제시한 분류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당뇨병은 외국과 많은 차이점이 있어 새로운 분류법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당뇨병을 임상 형의 따라 4종류로 다시 분류합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과 (제1형)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은 서양에서 가장 많은 임상형의 당뇨병이며, 영양 실조성 당뇨병은 일부 아프리카, 아시아 그리고 카리브인에 많은 임상 형의 당뇨병입니다. 기타 형태의 당뇨병은 일차성 당뇨병에 반해, 종전에 이차성 당뇨병으로 분류했거나 또는 특정 유전질환과 관련이 있는 당뇨병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고 인슐린 분비 능이 거의 없습니다. 발병 후 수개월 내에 종종 관해야 들어가고 인슐린을 끊을 수도 있는데 이를 밀월기라고 합니다. 소아에서 발생률은 코카 시안에서 10만명당 15~30명이나 한국에서는 0.7명으로 일본과 멕시코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입니다. C-펩타이드로 조사한 베타세포의 분비 능은 발병 후 1~5년간 일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흔히 심한 고혈당이나 케톤산증에 쉽게 빠집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발생했을 때 심한 인슐린 결핍에 의해 다음, 다 갈, 다뇨, 체중감소, 피로감 등이 급격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서양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약 90%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 속합니다. 유전적인 면에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보다 가족성으로 발생하는 비율이 높으나 환경인자가 유전적 감수성과 합쳐 발병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비만도에 따라 비만형과 비 비만형으로 구분합니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대부분이 40세 이후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이의 아형인 MODY는 소아 및 청년기 즉 25세 이전에 발견되는데, 상염색체 성 우성유전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영양실조형 당뇨병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보다 훨씬 발생빈도가 높고 거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과 비슷한 빈도를 보입니다. 특히 인디아, 아프리카 일부지역, 서인도 등에 많습니다. 주로 젊은 사람에게 많이 발견되며, 특징적으로 심한 단백질의 결핍 병력을 갖고 있습니다. 복부 엑스선 촬영을 이용하여 췌장결석 및 췌장 석회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당뇨병은 케톤산증을 동반치 않는 심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예방 목적보다는 단순히 환자의 건강 및 새 영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슐린 투여가 요구됩니다. 기타 형태의 당뇨병은 어떤 특정한 상태 혹은 증후군에 의한 이차성 당뇨병 또는 그와 관련된 당뇨병을 의미합니다. 이 아형은 원인에 따라서 다시 세분하고 있습니다. 췌장질환 또는 췌장조직의 제거에 의한 이차성 당뇨병, 말단비대증, 쿠싱증후군, 크롬 친화 세포종, 글로카곤 종, 소마토스타틴 종,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등과 같은 내분비질환에 의한 이차적인 고혈당증, 특정 호르몬제를 섭취하여 유발된 고혈당증, 특정 약물(항고혈압제, 티아자이드 이뇨제, 에스로 겐 이 들어 있는 약, 항신경성 약품, 교감신경 자극성 제제)의 복용으로 인한 이차적인 고혈당증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 밖에도 당뇨병(혹은 내당능장애)은 여러 유전적 증후군과 동반해서 발병하기도 합니다. 끝으로 유전적 원인에 의해 인슐린 수용체 이상, 인슐린 수용체 수의 감소 수용체 친화력 장애 등이 있는 경우와 다른 면역질환에 동반되어 또는 단독으로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생긴 경우에 발생하는 당뇨병도 이군에 속합니다. 

 

“이 내용은 『내분비대사학 강의』(대표저자 허갑범, 출판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을 참고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