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발생이 자가면역 기존에 의한다는 증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 진단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소도 세포질 항체는 높은 양성률을 60~90%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20%와 임신성 당뇨병의 10%보다 높습니다. 또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1도 근친에서 소도 세포질 항체의 양성률은 3%로 정상 대조군의 0.5%보다 6배가 더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소도세포 표면 항체를 측정한 결과, 전체 당뇨병 환자의 병 유형에 따른 소도세포 표면 항체의 양성률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25%, 비 비만형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9.6%, 비만형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2.3%였습니다. 또한 당뇨병의 경우 이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만형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10년 이상인 경우에도 높은 양성률을 보였습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병인론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기전이 선호하는 증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아의 림프구는 세포 배양에서 인슐린종 세포에 부착되어 로켓을 형성하며 대조군의 림프구보다 더 많은 베타 세포의 파괴를 유도합니다. (2) 살해 T임파구와 항체 의존성 세포독성의 활성이 증가하여 있습니다. (새로 진단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 당뇨병과 연관되는 유전자를 가지며 동시에 소도세포 항체 양성인 당뇨병에 이환되지 않은 소아 등) (3) 최근 발생한 급성 당뇨병의 췌장에 소도 염이 존재합니다. 세포독성 임파구에 의한 베타 세포의 직접적인 파괴는 3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① 주효 세포(effector cell)와 표적 세포(target cell)의 상호작용 시기 ② 치명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주효 세포 준비 시기 ③ 살해 세포 비의존성 표적세포 파괴가 나타나는 시기. 세포의 파괴에는 두 가지 종류의 림프구가 관여하는데 이들은 세포 살해 T 림프구와 전형적인 T세포 및 B세포 표지자를 가지지 않는 비대해진 과립성 림프구입니다. 후자는 다시 자연 살해 세포와 세포 살해로 나누어집니다.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인터류킨과 종양괴사인자 α(tumor necrosis factor α)는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베타세포에 대한 작용은 산소로부터 얻어진 자유라디칼에 의해 매개된다고 가정되었으며 베타세포는 자유라디칼에 민감하고 자유라디칼의 청소능이 낮습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다음과 같은 진행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 당뇨병 → 내당능장애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 소도에 림프구와 대식세포가 침윤하는 급성 소도 염은 이미 1019년 기술되었으며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증상이 시작된 지 6개월 내에 부검된 증례의 2/3에서 발견되었다. 림프구의 침윤은 살아있는 베타세포를 가지는 췌장 소도의 10%에 국한되어 발견되었나 이환 기간이 긴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 소도에서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베타세포의 국소적인 재상은 당뇨병이 시작된 후 즉시 관찰되나 당뇨병이 진행함에 따라 재생의 빈도는 줄어듭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췌장 중량이 감소하며 이는 정상 췌장의 98%를 차지하는 외분비선의 위축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외분비선의 위축은 정상적으로 외분비선 조직의 영양에 관여하는 췌장 내 인슐린의 양의 감소 또는 소실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가 아무리 잘 조절되고 있다고 하여도 내분비 췌장은 거의 인슐린 고갈 상태에 있게 됩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소도는 정상인에서 더욱 수직이나 양적인 면에서 더 작으며 췌장의 총 중량은 정상인이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1/3이하 입니다. 베타 세포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되나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알파 세포는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는 델타세포 및 췌장 두부의 배부에 위치하게 되는 췌장 폴리펩티드를 분비하는 PP 또는 F 세포 등은 거의 완전하게 유지됩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발생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적 감수성 → 환경 인자의 영향 → 소도 염 → 자가면역 기전의 활성화 → 면역 과정을 통한 베타세포의 손상 → 당뇨병
'내분비학(호르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에서의 췌장 소도 세포의 기능이란? 1편 (0) | 2025.02.26 |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병인 총 정리 (0) | 2025.02.26 |
인슐린 의존형 환자의 당뇨병 병인 총 정리 1편 (0) | 2025.02.25 |
당뇨병의 합병증, 대사 조절의 역할과 당뇨병 환자의 수술에 대하여 (0) | 2025.02.25 |
당뇨병 환자의 운동 요법 (0) | 2025.02.24 |